본문 바로가기

국가무형국가유산

한국관광의 메카 “Beautiful Gyeongju”가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明紬짜기
기본정보
  • 종목 국가무형국가유산 제87호
  • 분류 무형국가유산 / 전통기술 / 공예 /
  • 수량/면적
  • 지정(등록)일 1988년 04월 01일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 시대
  • 소유자
  • 관리자(사)국가무형문화재 두산손명주연구회
  • 상세정보
    명주는 누에고치에서 풀어낸 견사(絹紗)로 짠 무늬가 없는 평직 직물이다. 일반적으로 견사로 만든 견직물을 ‘비단’이라고 하지만 견사 종류와 세직 및 무늬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우리나라의 양잠은 그와 관련된 기록이 고조선 때부터 나타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신라시대에는 정교한 직물을 당나라에 보내기도 하였을 정도로 섬세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보다 질이 좋은 견직물이 생산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종류가 다양해서 색과 품질로 이름이 붙게 되었다. 그 중 명주가 가장 많이 생산되어 일상적인 옷감재료로 사용되었다. 제직방법과 제직상태, 산지와 원료 등에 따라 각기 달리 불리다가 근래에 명주라는 이름으로 통칭하게 된 것이다.
    명주는 뽕나무를 재배하고 누에를 치는 일부터 시작된다. 명주실은 누에고치를 끓는 물에 넣고 실 끝을 풀어서 자새·왕챙이 등의 기구로 실켜기를 해 타래실을 만든 것이다. 이 명주실로 날실을 날고 베메기로 날실에 풀을 먹여 도투마리에 감아서 베틀에 올려 잉아실을 걸고 날실 끝을 말코에 매면 명주짜기 준비가 모두 끝난다. 직녀가 베틀 앉을깨에 앉아 부티를 허리에 걸고 베틀신을 신고 발을 앞뒤로 밀고 당기며 날실을 개구(開口)시켜 북속의 씨실꾸리에서 씨실을 넣고 바디로 치면 명주가 짜이게 된다.
    예전에는 전국 각지의 가정에서 베틀로 명주를 짜 자급자족하였는데, 조선 후기이후 개량식 직기로 대량 제직함에 따라 재래식 명주짜기는 급격히 쇠퇴하게 되었다. 더구나 오늘날에는 화려한 견직물에 밀려 명주의 수요가 줄어들어 간신히 그 명맥만을 이어오고 있다.

    ※ 보유자 없는 보유단체로 지정 : 2017.4.13.(사단법인 국가무형문화재 두산손명주연구회)
  • 사진/영상
    생명주 누에고치 36931_5령 누에의 모습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6960_실날기 모습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6962_날틀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6996_베틀의 부분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7030_명주실을 털어서 돌것에 걸 준비를 한다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7036_가락에 실이 골고루 감기고 있는지 확인한다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7111_베 매기 하기 위해 실올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7120_끊어진 실올을 찾아서 이어주는 모습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7164_가락에 X자형으로 감는 꾸리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37248_베틀에서 끊어낸 완성된 생명주 한 필_국가무형 명주짜기_2002_경북 성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 리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