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무형국가유산

한국관광의 메카 “Beautiful Gyeongju”가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縷緋匠
기본정보
  • 종목 국가무형국가유산 제107호
  • 분류 무형국가유산 / 전통기술 / 공예 /
  • 수량/면적
  • 지정(등록)일 1996년 12월 10일
  •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 시대
  • 소유자
  • 관리자
  • 상세정보
    누비는 옷감의 보강과 보온을 위해 옷감의 겉감과 안감사이에 솜, 털, 닥종이 등을 넣거나 또는 아무것도 넣지 않고 안팎을 줄지어 규칙적으로 홈질하여 맞붙이는 바느질 방법이다. 우리나라의 누비는 면화재배 이후 적극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며 조선시대의 다양한 실물자료들이 전해지고 있다. 승려들이 일상복으로 입는 납의(衲衣)는 헤진 옷을 수십 년 동안 기워 입은 것에서 유래하였으며, 이는 점차 누비기법으로 발전하여 방한과 내구성, 실용성 등이 뛰어나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누비는 누비 간격이나 바느질 땀수에 따라 세누비·잔누비·중누비 등으로 나뉘며, 형태에 따라 오목누비·볼록누비·납작누비로 크게 구분된다. 누비 간격은 잔누비 0.3㎝, 세누비 0.5㎝, 중누비 1.0㎝ 이상으로 구분된다. 세누비·잔누비 중에서도 옷감 2겹만을 누벼주어 겉모양이 오목오목하면 오목누비라 하고, 솜을 여유있게 두고 누벼주어 겉모양이 볼록한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면 볼록누비라 한다. 또 얇은 솜을 두거나 닥종이를 이용하기도 하고 옷감만으로 누벼주어 평면적이면 납작누비라 구분하였다. 누비용구로는 옷감재질과 동일한 실, 누비 두께에 따른 다양한 바늘 종류, 가위, 인두, 밀대, 자, 골무 등이 있다. 누비 바느질 기법은 홈질이 대부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박음질도 사용된다. 의복이나 침구류에는 규칙적인 직선누비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주머니나 보자기류에는 누비 자체를 문양으로 살려 곡선과 직선으로 조화를 이룬 것도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손누비는 세계 유일한 재봉법으로 그 정교함과 작품성이 자수를 능가하는 예술품으로 평가받기에 충분하나, 지금에 와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라져가고 있다.
  • 사진/영상
    누비제작과정-김해자 누비제작과정-김해자 누비작업중인 보유자(김해자) 누비작업중인 보유자(김해자) 완성된누비옷 누비작업중인보유자 누비중간과정 시침질작업 46027_전체 재단한 도면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085_고운 실땀으로 누비는 방법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086_애기노랑저고리-누비기3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144_애기노랑저고리-깃달기4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196_완성된 저고리의 정면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259_누비4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293_두렁치마 치마주름잡기2;주름잡기1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441_치마 완성품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445_치마 저고리 완성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46500_오목누비덕원공주삼회장저고리도련마무리 고름달기7;완성_국가무형 누비장_2007_경북 경주_기록화_국립무형유산원
  • 리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