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아이돌, 세계의 표준이 되다.
1996년 ‘아이돌’이라는 단어가 국내 매체와 대중문화계에 처음 본격적으로 쓰였을 때 한국의 아이돌이 세계무대를 호령하는 오늘을 조금이라도 예견한 이가 있었을까? 바로 다음 해에 앞서 대형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정착한 일본의 아이돌 업계를 벤치마킹한 한국의 1세대 아이돌이 두각을 드러내고, 저마다 ‘너는 어느 그룹의 팬이냐’를 두고 친구들이 옥신각신할 때 20년 만에 한국과 일본의 입장이 완전히 뒤바뀌리라 예상한 이가 있을까? 이제는 케이팝 아이돌이 일본에서 인기를 얻고, 일본 내부에서 한국의 아티스트 육성 시스템을 본받으려 고심한다. 방탄소년단과 몬스타엑스 등은 아시아를 넘어 미국과 해외 차트를 휩쓸고 각종 시상식과 TV쇼에 등장했으며, 블랙핑크는 해외 대형 페스티벌 무대에 오르고 유튜브 기록을 여럿 갈아 치웠다. 1960년대 비틀스를 시작으로 영국의 대중음악이 미국 팝음악 시장을 장악한 ‘브리티시 인베이전(British Invasion)’ 현상에 빗댄 ‘코리안 인베이전(Korean Invasion)’이라는 말이 심심치 않게 나온다.
일찌감치 어딘지 비슷한 상황을 목격한 바 있다. 2000년대 아이돌 1, 2세대 그룹들이 처음으로 해외 시장에 눈을 돌렸을 때, 10여 년 전 싸이의 <강남스타일(2012)>이 한국 노래 및 한국어 노래 최초로 빌보드 순위권에 올랐을 때다. 당시 이들 역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었기에 이를 1990년대 말 일본에 불었던 한류에 빗대 ‘한류 2.0’, ‘한류 3.0’로 부르거나 ‘2차 한류’, ‘3차 한류’로 부르며 사람들은 흥분했다. K-POP, K-Fashion, K-Drama 등 다양한 장르 콘텐츠에 ‘K’ 브랜드를 입혀 ‘우리 이렇게 잘나간다’고 홍보하기 바빴다. 자연히 이를 냉정한 시각으로 바라보는 이들도 적지 않았다. 그에 반해 요즘 분위기는 정반대다. 한국인이 나서서 굳이 “두 유 노 박지성?”, “두 유 노 김연아?” 묻지 않아도 외국인이 먼저 “두 유 노 BTS?”를 묻는 시대다. K-POP 아이돌의 성공을 도리어 국내에서 충분히 인정하지 않는다는 볼멘소리마저 들릴 정도다. 마치 봉준호 감독이 <기생충>의 오스카 수상을 앞두고 아카데미 시상식을 미국 ‘로컬’ 시상식으로 태연하게 치부한 것처럼 오히려 대단한 성공 앞에 이전만큼 호들갑을 떨지 않는 것을 통해 이전과 다른 공기를 느낄 수 있다. ‘뭐 어때? 아이돌 팝은 K-POP이 보편인 게 당연하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