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남산 傳염불사지 동 ·서 삼층석탑 복원 준공식 열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09-05-04

focus_256846.JPG

- 스리랑카국 공인사리 2기, 불상, 불화, 불경 봉안 -

경주시는 4일 오전 11시 동남산 봉구곡 자락 남산동 1130번지에 자리잡은 傳염불사지 동 · 서 삼층석탑 복원 준공식 및 사리법신 봉안식을 가졌다.

이날 열린 준공식에는 백상승 경주시장을 비롯한 최병준 경주시의회 의장, 불국사 성타스님, 스리랑카 불교부장관 및 문화재위원, 문화재 관계자와 관련학계, 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장 인사, 시의회의장 및 불국사 주지 축사, 사리·법신 접견식, 봉안식, 공양, 탑돌이 순으로 열렸다.

특히, 傳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에 봉안된 사리법신은 지역 불교관계자들이 뜻을 모아 준비한 것으로 스리랑카국 공인사리 2과와 불상 및 불화, 불경 등을 동 ·서탑 삼층 탑신에 봉안했다.

준공식을 갖게 된 傳염불사지 동 · 서 삼층석탑은 당시 폐탑으로 방치돼 있던 것을 1963년 불국동 구정광장으로 옮겨놓았다.

그러나 40여년 세월이 흐르면서 이 탑을 원래위치에 복원 하자는 여론이 재기됨에 따라 경주시는 총 사업비 5억9천900만원을 들여 지난 2007년 6월 착공에 들어가 염불사지 사유지 매입과 발굴조사 등 준비를 마치고 구정광장의 탑을 이곳으로 옮겨와 지난해 12월 말 복원공사를 모두 마무리 했다.


한편,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傳염불사지』는 “한 스님이 하루에 몇 번씩 시간을 정해 염불을 외우셨으며, 법당에 앉아 나무아미타불을 부르는 그 소리가 당시 서라벌 360방 17만호에 들리지 않는 곳이 없어 사람들은 그를 공경하여 염불사(念佛師)라 불렀는데 스님이 돌아가니 그의 초상을 흙으로 만들어 민장사(敏藏寺)에 모시고 그가 살던 피리사(避里寺)를 염불사(念佛寺)로 고쳐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다.
파일
다음글
MBC 특별기획드라마 『선덕여왕』제작발표
이전글
경주 안압지 상설공연 '성황'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경주시청이 창작한 시정포커스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