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인왕동 사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3호로 지정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01-28
< 2002년부터 2011년까지 4차례 발굴조사, 29일 관보 고시 >

1.인왕동사지전경.jpg

- 경주시, 문화재청 등 유관기관 합동으로 체계적인 관리 체계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북 경주시 인왕동에 있는 ‘인용사지(仁容寺址, 경북도 문화재자료 제240호)’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33호 ‘경주 인왕동 사지(慶州 仁旺洞 寺址)’로 29일 지정했다.

경주 인왕동 사지는 신라 태종 무열왕의 둘째 아들 김인문의 *원찰(願刹)인 인용사(仁容寺)의 터로 추정되어 1991년에 경북 문화재자료 ‘인용사지(仁容寺址)’로 지정되었다.
*원찰(願刹) : 소원을 빌거나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건립하는 절

2002년부터 2011년까지 4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신라의 전형적 가람배치인 중문․쌍탑․금당․강당․회랑과 독특한 건축 구조가 확인됐다.

중문 자리에 유례가 드문 ‘亞’자형 건물지가 있고 쌍탑은 여느 사찰과 달리 금당의 좌우측면 남북축선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백제 지역에서 주로 나타나는 와축 기단을 구축한 건물지도 확인됐다. 또한 통일신라시대 전형적 양식인 석탑은 *팔부중이 명확하게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팔부중(八部衆) : 불법(佛法)을 수호하고 대중을 교화하는 여덟 신
특히 10년간의 발굴조사를 통해 토기류, 자기류, 기와류, 전돌류, 금속유물, 목간 등의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중 기와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으며 대부분 완성도 높은 통일신라시대의 유물이다. *지진구의 출토는 신라시대 지진구 매납 방식 연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로 가치가 높다.
*지진구(地鎭具) : 건물을 지을 때 좋지 않은 땅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 묻는
의례용 유물

또한 출토된 청자, 백자 등 중국자기를 통해 당나라와 신라의 교역에 관한 내용도 확인됐다. 다만, 명문기와 등 사명(寺名)을 밝힐 수 있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 ‘경주 인왕동 사지’로 명칭을 정했다.

시는 앞으로 문화재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경주 인왕동 사지’를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방침이다.
파일
다음글
육사 72기 생도, 호국의 성지 통일전 방문
이전글
경주시, 취약계층에 양질의 일자리 제공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경주시청이 창작한 최신기사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