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하다
경주 알리미
생애주기별 인구정책 안내
경주시의 생애주기별 인구정책 안내서는 경주 시민은 물론 경주에 관심 있는 다양한 계층을 위한 촘촘한 지원 정책을 담고 있다. 한 달 살기에 도전하는 방문자부터 전입 대학생, 귀농·귀촌을 꿈꾸는 이들, 예비 부모와 영·유아, 아동, 청소년, 청년, 중장년, 어르신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며 특히 다자녀 가족, 한부모 가족, 다문화·외국인 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를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결혼, 출산, 이사, 양육, 교육, 창업, 중장년 고용복지, 노인일자리 사업 등 삶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실질적인 혜택과 세심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생애주기별 인구정책 안내서는 경주 시민 모두를 위한 종합 지원 가이드로, 지역 사회의 포용력과 지원 의지를 보여주며 시민들에게 쓰임새 있게 활용되는 책자이다.
경주시 홈페이지 > 분야별 정보 > 생애주기별 인구정책 안내서

2025년부터 1인당 50만원 산후조리비 지원
경주시는 저출생 대응 사업의 일환으로 내년 1월 1일부터 소득에 상관없이 지역 내 출산 산모들에게 지역화폐 50만원을 지급한다. 지급 대상은 경주에 주소를 둔 산모가 출산 후 경주에 출생 등록을 마친 가정이다.
어르신 무료택시카드 132,000원 → 160,000원/인 지원
경주시의 대표적 어르신 복지사업으로 자리 잡은 ‘어르신 기본요금 무료택시 사업’이 내년부터 대폭 확대된다.
내년 2월부터 70세 이상 경주시민이면 1회 사용 한도 1만 2,000원, 연간 16만원까지 무료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현행 1회당 최대 8,000원까지 지원하던 보조금을 1회당 1만 2,000원으로 결제 한도를 1.5배 올리고, 연간 지원금액도 13만 2,000원에서 16만원으로 21% 인상하게 되었다.
‘어르신 기본요금 택시카드’는 주소지 읍면동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일 기준 70세 이상 경주시민이면 누구든 가능하다. 다만 탑승 1회당 결제한도 금액을 초과하는 금액은 별도 부담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은 잔여분은 연말에 소멸된다. 어르신 택시카드는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고, 제3자 양도시 카드 이용 중지는 물론 지원금이 모두 환수되는 탓에 주의가 요구된다.
청년이 살기 좋은 경주
청년이 살고 싶은 도시, 청년이 살기 좋은 경주를 위해 다양한 지원 혜택을 마련했다.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 경주에 주소를 두고 부모와 떨어져 사는 19~34세 이하 무주택 청년에게 매월 20만원씩 12개월 간 최대 240만원을 지원한다. (생애 1회) -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
– 경주에 주소를 둔 연 소득 5천만원 이하 무주택 청년에게 30만원 이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청년 이사비 지원
– 2025.1.1. 이후에 경주시로 전입 또는 경주시 내에서 이사하는 19~39세 이하 무주택 1인 청년 가구에게 최대 이사비 20만원, 중개수수료 30만원을 지원한다. (생애 1회)
경주시 모든 읍면동 무인민원 발급 가능
경주시는 강동면, 내남면, 문무대왕면, 보덕동, 산내면, 서면, 천북면에 무인민원발급기 7대를 신규로 설치하여 모든 읍면동에서 무인으로 민원서류 발급이 가능하게 되었다.
무인민원발급기는 주민등록등·초본을 비롯한 가족관계 증명서류, 납세증명서,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등 총 122종의 증명서류를 발급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독감)·코로나19 무료 예방접종

경주시 시민안전보험 안내
